😸32 [Basic] Frontend의 이해 - 인터넷이란? How does the internet work? 네트워크 :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통신망, 전세계를 연결(www, world wide web) 규모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지만 LAN(local area network), WAN(wide area network)정도는 기억을 해둘 것 LAN : 근거리 통신망 / WAN : 여러개의 LAN 대역을 연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host라고 부름 인터넷도 그 네트워크(통신망)의 일종이며 웹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인터넷에서는 클라이언트(요청)과 서버(요청을 받아 처리)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요청과 답변을 주고받고 있음 What is HTTP? 프로토콜(Protocol) : 네트워크에서 노드끼리 통신할 때 데이터의 내용과 양식을 규정 한.. 2023. 1. 25. React 환경설정 및 구동 설치 Git, Visual Studio Code, Node.js (LTS) Command 창에서 명령어 실행 1. node -v, npm -v 실행으로 Node.js 설치 확인 npm : node.js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앱스토어 같은 역할.. npx : 임시로 설치 후 삭제, 컴퓨터 용량 확보 가능, 늘 최신상태로 설치 가능 npm install -g create-react-app create-react-app -V // version check 2. 탐색기에서 workspace 생성 후 기본 react 웹앱 생성 create-react-app . 3. 로컬 환경에서 구동 npm run start npm start 4. 파일 수정 5. git push 확인이 필요했던 부.. 2023. 1. 20. [Basic] 프론트엔드 로드맵 Frontend loadmap 따라 공부해보기(pdf) 개발자들 사이에 굉장히 유명한 로드맵이 있다. 나도 이 파일을 따라 프론트엔드 기본부터 다져볼까 한다. 무작정 실무에만 뛰어들어서 그런지 기초 지식이 빈약함을 느낀다. 보라색 체크는 무조건, 초록색과 회색 체크는 간단히 무엇인지만 알고 넘어가면 될 것 같다. 인터넷을 기본으로 시작해서 쭈우욱.... 1월 안에 절반만 정리해도 다행일 것 같다.. ❤ pdf로 전체 파일 다운받기 2023. 1. 16. 3년차 개발자의 회고록 (비전공자 취업 그 후)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어떤 글을 첫 글로 올리면 좋을까 약간의 고민을 했다. 내가 개발자가 되어야겠다는 마음을 먹은 계기부터 방법과 현재까지 쭉 돌아보도록 하겠다. 앞의 내용은 개발자의 삶과는 영 관련이 없으니 개발 이야기만 읽고 싶은 사람은 2020년으로 스킵하면 되겠다. 목차 🤦♀️2017년, 생명과학과를 졸업한 학생 👩💻2017년~2019년, 전직을 꿈꾸던 직장인 🎲2019년, 갈림길에서 개발을 선택한 백수 ✌️2020년, 국비지원 학원 수료 🌃2020년~2022년, 취업 후 개발자로서의 삶 ❗2023년, 현재 🤦♀️2017년, 생명과학과를 졸업한 학생 휴학 없이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. 대학을 졸업하고 보니, 세상에.. 딱히 하고 싶은 일이 없었다. 전공을 살려 취업하고 싶었던 선배들과 동기들.. 2023. 1. 14. 이전 1 ··· 5 6 7 8 다음